2020. 1. 8. 17:31ㆍ되새김질
저자 : 매리언 울프
사진 출처 : 교보문고
작년에 핫했던 책 ‘다시, 책으로’를 읽었다. 읽어보니 왜 그렇게 핫했는지를 이해할 수 있었다. 책으로 읽을 때와 화면으로 읽을 때 느꼈던 미묘한 차이에 대한 설명을, 어린 아이에 디지털 미디어를 어떻게 활용하게 할지에 대한 해답을, 저자의 주장대로 양손잡이 뇌를 발달시켰을 때 얻을 수 있는 미래에 대한 기대를 얻을 수 있는 책이었다.
저자의 의도인지 아닌지는 불분명하지만, 읽기에 녹록한 책은 결코 아니다. 일단 중간중간 소개되는 종이책의 주인공이 다 서구 문화에 기반을 뒀기에 공감이 잘 되지 않았고, 전달성을 위해 독자에게 쓰는 편지 형태를 취했음에도 다양한 학문의 내용이 전개되는 특성 상 가독성이 떨어지기 일쑤였다. 근 한 달을 들고 다녔던 것 같다.
보통 디지털 매체의 해악(?)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아예 접하지 말 것을 주장하는데 이 또한 러다이트 운동이지 않을까? 이 책이 많은 지지를 받는 이유는 종이책 읽기와 디지털 읽기 한 쪽을 일방적으로 옹호하거나 배격하지 않는 제안을 한 부분이 크지 않을까 싶다. 세상의 변화를 맹목적으로 따르는(혹은 따르지 않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 이 책의 큰 교훈인 것 같다.
뱀발 : 표지 색깔이 차분한 녹색이어서 좋다. 재질은 이게 종이인지, 고무인지 잘 모르겠지만 잘 접히지 않으면서 하드커버와는 달리 가벼워서 좋다.
p.84
물론 영화와 영상만으로도 그런 몰입이 어느 정도 가능하다는 것은 멋진 이입니다. 하지만 글로 명료하게 표현된 타인의 생각 속으로 들어갔을 때만큼의 몰입에는 이르지 못합니다.
-> 문득 든 생각인데 듣는 책은 어떨까?
p.95
지금 우리 사회는 우리의 체내 플랫폼에 고유한 배경 지식을 저장한 전문가 독자 집단으로부터 서로 유사한 외부 지식 서버에 의존하는 전문가 독자 집단으로 변해가는 듯 합니다.
-> 내가 백과사전은 될 수 없겠지만 적어도 체내 플랫폼을 갖출 필요는 있다
p.129
바로 디지털 문화에서 우리는 컴퓨터가 우리처럼 될까 걱정하기보다는 우리가 컴퓨터처럼 될지를 더 걱정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 이미 악플다는 사람들에게서 느끼고 있는 부분.
p.138
복합 구문과 비유적 표현을 모두 배경 지식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제는 쉽사리 구사할 수도 없습니다.
-> 내가 글에서 사자성어를 쓸 때 주의해야할 점이긴 한데, 독자의 수준을 어디까지 맞춰야하는지는 늘 하게 되는 고민같다.
p.170
우리는 장기적 보상을 좇고 단기적 보상은 포기하는 방향으로 우리 자신을 훈련시켜야 한다.
-> 어디 책 보기만 그렇겠는가?
p.203
저는 아이들이 사용자와 늘 조금은 떨어져 있고 약간은 대용품 같은 스크린을 접하기 전에 책의 물리적, 시간적 존재감을 먼저 체험했으면 합니다.
-> 오히려 우리나라에서는 역효과가 나는 것 같기도 하다. 유치원까지는 정말 많은 책을 보는데 정작 학교에 가면서부터 책을 보는 비율이 현저하게 떨어진다.
p.218
그녀는 최근 연구에서 인터랙티브 북이 아이의 어휘력과 이해력에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입증했지요. 하지만 그보다 더 최신의 연구에서는 중요한 단서를 달았습니다. 부모가 적극적으로 아이의 어휘 학습을 지원하면 인터랙티브 북을 가지고도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입니다.
-> 결국 디지털 매체도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중요한 것 같다.
p.266
깊기 읽기 기술은 주의분산이나 공감력 약화 같은 디지털 문화의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결정적인 해독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다지털의 긍정적인 영향까지 강화합니다.
-> 당장 내가 작업할 때만 해도 중요하게 확인해야 할 내용은 꼭 출력해서 읽는데, 앞으로는 이런 소소한 노력을 조금 더 활성화해야겠다.
p.288
페스티나 렌테(Festina lente)
여러분은 빠르게(페스티나) 읽어 가다가도, 이해해야 할 생각이나 음미해야 할 아름다움, 기억해야 할 질문, 그리고 가끔은 운이 좋게도 통찰까지 떠오를 때는 그것을 의힉사는(렌테) 거지요.
-> 이 책의 핵심 문장이지 않을까?
'되새김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들은 어떻게 세상의 중심이 되었는가 (0) | 2020.02.05 |
---|---|
애덤 알터의 멈추지 못하는 사람들 (0) | 2020.02.04 |
모래가 만든 세계 (0) | 2019.12.10 |
평균의 종말 (0) | 2019.12.03 |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중국편 2 (0) | 2019.09.24 |